2010년 7월 17일 토요일

보통, 평등, 부자 미워, 반사회, 성공

집에 와서 심심해서 TV(IPTV다)를 켜보니, 여기서 TED.com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몇개 안 되지만...) 거기서 알렝 드 보통의 강연을 보았다. 주제는 얼추 성공이었다. 멋쟁이..
강연 중 이런 내용이 있다. 사람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성공은 질투하지 않는다. 원래 베이스가 다른 사람이다. 반면 '자신과 동질성이 높은 사람'의 성공은 질투한다. 비유를 빌리자면, 영국여왕 잘 사는 것은 질투하지 않지만, 동창들 잘 되는 건 뱃속이 꼬일 일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더 심하다. 그도 그럴 것이 조선후기의 신분제 흐지부지, 일제강점기와 6.25를 거치면서 귀족이 없어졌다. 유럽과 달리 사회 계층이 모두 사라지고, 그야말로 모두 동창생이 되어버렸다. 모든 사람들이 못 먹고 못 입고 못 배우고 자랐다. 하지만 수십년 뒤 누구는 성공했고, 누구는 못했다. 뱃속이 더 꼬일 일이다.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자신와 같은 세대의 사람이 같은 베이스에서 시작한 것은, 배아픈 일일 수 있지만, 다른 한편 우리도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이기도 하다. 한세대 더 나아가 그 자수성가인의 2세를 보면 그저 배 아프기만 하다. 누구는 부모 잘 만나서 성공가도 달린다는 비난과 약간의 부러움이 터져 나온다. 한세대 더 나아가 자수성가인의 3세부터는 질투가 무뎌진다. '원래 잘 사는 사람'이라는 계급으로 나눠 질투가 약해진다. 동질성이 떨어진 것이다. 우리나라의 소위 사회적 성공자들에 대한 질투도 슬슬 무뎌질 것이다.

보통씨는 성과주의의 단점도 지적했다. 지금 세상은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세상이란다. 누구나 창의적 아이디어와 열정, 그리고 차고(보통씨의 센스ㅋ)만 있으면 성공하는 세상이란다. 그렇다. 모두가 균등한 기회를 갖는 세상. 적어도 전제는 모두 같은 선상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내가 저 사람보다 성공 못했다는 것은 내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그래서 옛날 영국에서 가난한 사람을 만나면 '불운한 사람'이라고 불렀지만, 지금 미국에서 가난한 사람 만나면 '실패자'라 부른다 하더라. '저 사람은 태생이 잘 났으니까...'라는 자기위로가 통하지 않는, '내가 무능하단 말이야?' 불편한 진실이 극도의 질투와 시기로 발전하는 것이 아닐까.
아침에 오다보니 첨 보는 거지 아저씨가 길에 앉아 있더라. 사람도 별로 없는 길이었고, 그 분 인상도 특히 험악해서 지나가는 사람들 모두 슬슬 피했다. 언제부터인가 거지나 노숙자가 피해야하는 대상이 되었다. 함부로 마주쳤다간 싸움이 난다. 보통씨의 말을 떠올려보니, 성과주의 사회가 이들이 반사회성을 띠게 만든 것 같다. 자기방어. 우리도 학창시절 찌질거렸다든가, 옛 애인에게 진상을 떨었다든가하는 자신의 불편한 진실을 알고 있는 사람을 배척하게 된다. 때문에 보통 그런 사람이 입을 놀리면 우린 그를 비난하여 그의 말의 공신력을 떨어트린다.(적지 않은 사람들이 자기 옛 애인을 비난하고 다니는 것이 그것 때문이 아닐까!). 소위 사회적 실패자들에게 비교적 성공자들의 적극적인 시선이 어떻게 비칠까. 내가 실패했다는 불편한 진실을 알고 입을 놀리는 사람처럼 보일 것이다. 사람들 잘 되라고 적용한 성과주의가 이런 반사회성을 불러일으켰다니 놀라운 일이다.
극단적인 케이스만 말했지만, 우리 같은 서민들에게도 그런 반사회성이 없진 않다.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 괜히 나온 말은 아닐 것. 더러운 세상에서 1등이 되려고 열심히 뛰는 것은 좋지만, 1등이 되지 못한 사람들에게 위안을 줄 수 있는 제도나 철학이 필요할 것이다.

보통씨는 성공에 대한 철학을 제시하더라. 성공에 대한 다른 기준. 나만의 기준. 남이 말하는 성공이 아닌 내가 생각하는 진정한 성공. 지금 한창 취업시기를 앞두고 속물주의, 세속주의의 극을 달리는 나도 곰곰히 생각해 볼 일이다.

2010년 7월 1일 목요일

혼돈, 질서, 금융

이 글은 동아비즈니스리뷰에 박재희 휴넷&박재희 동양고전연구소장님의 '때론 혼돈속에 답이 있다'라는 글을 읽고 떠오른 점을 적은 것이다.

"장자의 응제왕 편에도 혼돈의 이야기가 나온다... 장자에 나오는 혼돈이란 존재는 그야말로 구멍도 질서도 없는 존재였다. 그런데 두 신은 인간처럼 7개의 구멍을 뚫어 혼돈에게 선물하려다가 결국 혼돈을 죽게 만들었다. 이 이야기는 인위와 질서보다 어쩌면 무질서와 모호성에서 더 큰 생명력을 찾을 수 있다는 장자의 역설의 철학을 보여준다. 잘 정리되고 짜인 인생의 길보다 무질서하지만 그 속에서 더 큰 자유와 생명력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금융시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파생상품 평가 모델은 통계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모델의 가장 큰 가정은 주가 등 이익 요소들이 랜덤하게, 즉 무질서하게 움직인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사람은 질서가 없으면 불안해하고, 이 때문에 질서를 만든다. 그래서 과거의 데이타를 보고 어떤 질서를 적용하여 내일을 예측하려 한다. 때문에 '오늘 올랐으니 내일은 내리겠지?', '오늘 올랐으니 내일은 오르겠지?' 같은 예측이 나오게 된다. -실제로 과거주가와 미래주가의 상관관계는 단기적으로는 -, 장기적으로는 +의 관계를 보인다고 한다-

내가 공부하고 있는 금융공학에 의존하여 투자를 하려면 세상이 혼돈에 빠져 있어야할 것 같다. 서로가 서로에게 관심 없이 랜덤하게 움직이는 분자 운동처럼, 금융시장참여자들도 서로에게 신경 끊고 묵묵히 자기 소신껏 움직여야 모델이 들어맞으려나 보다.

2010년 1월 14일 목요일

[조직]학회를 운영하면서

MARP라는 학회의 장으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과거에 난 프로젝트를 이끌면서 나 혼자 장이 되어 조직원들에게 이것저것 지령을 내렸다. 효율적일 수 있다. 하지만 조직원들은 일하면서 무슨 재미가 있겠는가? 재미가 있어야 창의적이 될 것 아닌가. 결국 아웃풋은 나 혼자 머릿속에서 나온걸로 채워져버렸다. 팀으로 움직인 의미가 없었다.

이번엔 좀 다르게 하고자, 중간 관리자를 만들었다. 그리고 스케쥴 짜고 이것저것 주문하다보니.. 결국 예전에 한 짓을 되풀이하려하고 있더라. 마치 마에스트로라도 된 양 이리 주문 저리 주문.

이러면 안 되지- 자중하고, 조직원들에게 재량권을 주자. 조직원들이 열정을 갖고 자기 '작품'을 만든다는 느낌으로 일을 처리해나갈 수 있도록. 난 방향만 주면 된다. 난 그들을 믿고 그들에게 작품을 맏기면 된다.

2009년 10월 9일 금요일

[IT] 전설의 레전드 Microsoft. 1978.

왠 히피족 사진인지?
1978년 New Mexico의 Albuquerque에서 찍은 이 사진의 주인공들은 훗날 전설이 된 Microsoft 창업자들이다.
왼쪽 위부터 오른쪽순으로 Steve Wood, Bob Wallace, Jim Lane, Bob O' Rear, Bob Greenberg, Marc McDonald, Gordon Letwin, Bill Gates, Andrea Lewis, Marla Wood, Paul Allen이다.
성공하기 전에 이정도로 핫하고 섹시한 사진 한장 정도 남겨야 후세에 멋지겠구나.
Starsky & Hutch에서 보여준 70년대 미국 영광의 시대가 눈에 선하다.

이 글의 출처인 http://www.museumofhoaxes.com/에서 쓴 표현도 재밌다.

If you had chosen to invest your money with this bunch of scruffy looking characters back in 1978, you'd be quite rich now.

아래는 이들이 벌어들인 돈이다. 그야말로 기적의 미라클.

But how rich did the people in the photo become? Here's their estimated wealth, listed in descending order:
Bill Gates: Still with Microsoft as it's chairman and chief software architect. His fortune is somewhere in the range of $50 billion.
Paul Allen: Left Microsoft in 1983 but remains a senior strategy advisor to the company. Worth around $25 billion.
Bob O'Rear: Left Microsoft in 1983. Is now a cattle rancher and is worth around $100 million.
Bob Greenberg: Left Microsoft in 1981 and then helped launch those Cabbage Patch Dolls that were so popular in the 1980s. Last time anyone checked, he was worth around $20 million.
Jim Lane: Left Microsoft in 1985. Now has his own software company and is worth around $20 million.
Gordon Letwin: Left Microsoft in 1993 and now devotes himself to environmental causes. Is worth around $20 million.
Steve and Marla Wood: They both left Microsoft in 1980 and Marla then sued the company for sex discrimination. They're worth around $15 million.Bob Wallace: Left Microsoft in 1983. Worth around $5 million.
Andrea Lewis: Was Microsoft's first technical writer. Left the company in 1983. Worth around $2 million.
Marc McDonald: Was Microsoft's first employee. Left the company in 1984, but recently rejoined the company when Microsoft bought Design Intelligence, the company he was working for. Has the honor of getting to wear badge number 00001. Probably worth at least $1 million.

자료 출처는
http://www.museumofhoaxes.com/photos/microsoft.html

2009년 10월 7일 수요일

[하루]운수 좋은 날

오늘은 저녁에 여의도 MARP 선배들의 저녁 식사에 어찌어찌 끼게 되었다. 물론 난 막내였고, 언제나처럼 좋은 얘길 많이 들었다. 좋은 얘기야 많았지만, 그중 내 머릴 꿍-하고 내리친 것이 있는데, 희택형님과 문회형님의 '작은 것을 잘하라'였다. 큰 것만 잘하면 능력이야 인정 받지만 시기를 받기 십상이다. 반면 작은 일을 잘하면 모두에게 사랑 받고, 나중에 큰 일을 망쳐도 용서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큰 것만 잘하는 친구는 자칫 최전방에 내몰린다. 거기선 잘하면 잘한거고 못하면 장렬히 전사하는거다.(물론 둘다 잘하는게 최고겠지만)

나도 회사에서 큰 건 많이 했다고 자부했는데, 회사가 인정을 안해주더라. 오늘 저 얘길 듣고보니 문제는 내 안에 있더라. 작은 것부터 잘해야 하겠다.

끝나고나선 또 사업 준비하는 효수형과 태현형을 만났다. 끊임 없이 자신을 파악하고, 자기가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아내고, 그것을 펼칠 장밋빛 청사진을 펼치고, 그것을 실제로 만드는 그들을 보니 또 자극을 받더라. 중간에 일이 빠그러져도 멈추지 않는다. 태현형 말론 '방귀를 계속 뀌어야 똥이 나오지 않겠나'. 이분들 정말 커다란 황금백 똥을 뀔 상이다.

어쨌든 참 운수 좋은 날. 친구복은 참 많다.
이렇게 풍경이 좋은데 좋은 그림 못 그리면 화가가 못난 것 아니겠나.

2009년 9월 27일 일요일

[경영]이야기

다음은 조선일보의 위클리 비즈에 실린 '[김정운 교수의 'B&G 경영'] 뻥과 구라라도 좋다 이야기가 없는 기업은 망한다'이다.

웰치·잡스… 위대한 기업엔 이야깃거리가 있는 법
광고는 고객에 이야기를 만들어주는 전략이다
직원들이 자기 회사에 대해 즐거운 이야기를 하고 있나…그렇다면 그 기업은 진짜 잘나가는 기업이다
....
그래서 분석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은 "우리가 생각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하려고 생각한다"고 과감하게 주장한다. 이야기가 없는 사람은 살아도 살아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위대한 기업에는 이야기가 있다. 과거 잭 웰치의 GE가 그랬고, 스티브 잡스의 애플이 그렇다. 마이크로소프트빌 게이츠에 대한 이야기도 끊임없이 반복되며 부풀려진다. 이야기가 없는 기업은 망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대기업에도 이야기가 있었다. 현대에는 정주영 회장에 관한 이야기가 있었고, 삼성에는 이병철 회장에 관한 이야기가 있었다. 포스코에는 박태준 회장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 그 시절, 사람들은 모여 앉으면 그들의 이야기를 했다. 그 이야기는 뿌듯한 마음으로 소비되며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다. 오늘날 한국 사회가 불안한 이유는 이야기가 없기 때문이다. 내 나라에 대한 가슴 설레는 이야기를 더 이상 나눌 수 없는데, 어찌 내 나라가 자랑스러울까. 한국 기업의 위기도 이야기 부재(不在)에서 비롯된다. 내가 다니는 회사의 가슴 찡한 이야기가 없기 때문이다.
...
내가 다니는 회사, 내가 속한 공동체에 관해 그 어떤 즐거운 이야기도 할 수 없다면, 이건 아주 심각한 위험 신호다. '내 회사, 내 공동체'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


김정운 교수님의 의견에 백번 공감한다.

사람들은 호감가는 것의 즐거운 이야기를 계속 거론한다. 컨설팅 회사 가고 싶어하는 사람은 컨설팅의 미래를 계속 찬양할 것이고, 자기 회사가 맘에 드는 사람은 회사 자랑을 늘어놓을 것이다. 사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여자친구를 많이 사랑하는 남자는 시도 때도 없이 여자친구 자랑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이야기 거리가 없는 건 이뻐할래야 이뻐할 수가 없다. 남한테 이야기할 거리도 없거니와, 평소에 생각해봐도 인상적인게 없어 떠오르질 않는다.

다시 성공한 것들은 다들 이야기가 있지 않은가? 유명한 밥집은 맛있거나 분위기 좋아 자랑할 만하고, 덕수궁 돌담길은 걸으면 연인이 깨진다고 유명하다. 아이팟은 이쁘고, 델 컴퓨터는 저렴하다.(차별화란건 남과 다른 이야기가 있는게 아닐까 싶다.)

이야기거릴 만들어라. 회사의 경우 정 없다면 조직원들 해외여행이라도 보내줘라. 개인이라면 똘끼도 보여보고 고생도 해보라. 그게 다 내 이야기가 되지 않겠는가?

2009년 8월 18일 화요일

[정치]일국의 지도자란

일국의 지도자는
서민만을 생각해서는 안된다.
노동자만을 생각해서도 안된다.
그렇다고 부자나 권력자만을 생각해서도 안된다.
국민을 생각해야 한다.
적어도 난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올바른 정치는
국민이 성을 내면 안된다.
국민이 괴로워해도 안된다.
그렇다고 국민이 열광해도 안된다.
국민이 정치에 신경을 꺼도 나라가 잘 돌아가야 한다.
적어도 난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봐온 몇 안되는 대통령 중 가장 내가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지도자의 모습을 갖추고,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치를 펼치신 그분의 명복을 빕니다.